
자동차세, 언제 내야 하는지 헷갈리시나요? 자동차세는 차량을 소유한 모든 분이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. 납부 시기를 놓치면 가산금이 붙고, 제때 납부하면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자동차세 납부의 모든 것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자동차세란?
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이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지방세입니다. 차량의 배기량, 차종, 연식에 따라 세액이 결정되며, 연 2회 나누어 납부합니다.
💰 자동차세 계산 기준
승용차: cc당 세액 × 배기량 × 연식별 경감률
비영업용 승용차 기준:
• 1,000cc 이하: cc당 80원
• 1,600cc 이하: cc당 140원
• 1,600cc 초과: cc당 200원
연식별 경감: 3년차부터 매년 5%씩 최대 50%까지 경감됩니다.
2. 자동차세 납부 시기
정기분 납부 (연 2회)
제1기: 6월 16일 ~ 6월 30일
납부 대상: 1월 1일부터 6월까지의 자동차세 (상반기분)
세액: 연세액의 50%
제2기: 12월 16일 ~ 12월 31일
납부 대상: 7월 1일부터 12월까지의 자동차세 (하반기분)
세액: 연세액의 50%
⚠️ 주의사항
• 납부 기한을 하루라도 넘기면 3%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.
• 1개월 경과 시 추가로 0.75%의 중가산금이 매월 부과됩니다.
• 최대 60개월까지 가산금이 누적될 수 있습니다.
연납 할인 제도 최대 10% 할인!
1년치 자동차세를 한 번에 미리 납부하면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| 납부 시기 | 할인율 | 납부 기간 | 비고 |
|---|---|---|---|
| 1월 연납 | 약 4.57% | 1월 16일 ~ 1월 31일 | 가장 높은 할인율 |
| 3월 연납 | 약 3.76% | 3월 16일 ~ 3월 31일 | 1월 놓친 경우 |
| 6월 연납 | 약 2.53% | 6월 16일 ~ 6월 30일 | 하반기분 미리 납부 |
| 9월 연납 | 약 1.28% | 9월 16일 ~ 9월 30일 | 최소 할인율 |
💡 연납 할인 계산 예시
연간 자동차세가 40만원인 경우:
• 1월 연납: 약 18,280원 할인 → 381,720원 납부
• 3월 연납: 약 15,040원 할인 → 384,960원 납부
• 6월 연납: 약 10,120원 할인 → 389,880원 납부
• 9월 연납: 약 5,120원 할인 → 394,880원 납부
3. 자동차세 납부 방법
온라인 납부 (가장 편리!)
1️⃣ 위택스 (Wetax)
접속: www.wetax.go.kr 또는 모바일 앱
납부 방법:
- 회원 가입 후 로그인 (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)
- '납부하기' → '지방세' 선택
- 자동차세 조회 및 납부
- 신용카드, 계좌이체, 간편결제 가능
장점: 24시간 이용 가능, 납부 내역 즉시 확인, 전자고지 신청 시 1,000원 세액 공제
2️⃣ 인터넷지로 (GIRO)
접속: www.giro.or.kr
납부 방법:
- 주민등록번호 또는 납부번호로 조회
- 자동차세 선택 후 결제
- 카드, 계좌이체, 휴대폰 결제 가능
장점: 회원 가입 없이 이용 가능
3️⃣ 정부24
접속: www.gov.kr
납부 방법:
- 로그인 후 '지방세 납부' 검색
- 자동차세 조회 및 납부
장점: 다양한 정부 서비스를 한 곳에서 이용 가능
4️⃣ 카카오페이, 네이버페이
납부 방법:
- 앱 실행 → '공과금 납부' 선택
- '지방세' 또는 '자동차세' 선택
-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조회
- 간편하게 결제
장점: 간편결제로 빠르게 납부, 포인트 적립 가능
오프라인 납부
5️⃣ 은행 방문 또는 ATM
납부 방법:
- 납세 고지서를 가지고 은행 방문
- ATM에서 '지방세 납부' 메뉴 선택
- 고지서 바코드 스캔 또는 번호 입력
주의: 은행 영업시간 내에만 가능
6️⃣ 편의점 납부
납부 가능 편의점: GS25, CU, 세븐일레븐, 이마트24
납부 방법:
- 고지서를 가지고 편의점 방문
- 바코드 스캔 후 현금 또는 카드로 결제
장점: 24시간 이용 가능
단점: 30만원 이하만 납부 가능
7️⃣ 자동이체 (CMS)
신청 방법:
- 위택스 또는 관할 구청 세무과에 신청
- 납부 기간에 자동으로 출금
장점: 납부를 잊어버릴 걱정이 없음
주의: 출금일 전 계좌 잔액 확인 필수
4. 자동차세 할인받는 꿀팁
💰 세금 절약 노하우
1. 1월 연납으로 최대 할인: 연간 약 2~5만원 절약 가능
2. 전자고지 신청: 연간 최대 2,000원 추가 공제
3. 신용카드 포인트 활용: 납부 시 카드 포인트 적립
4. 다자녀 감면: 18세 미만 자녀 3명 이상 시 최대 50% 감면
5. 장애인 감면: 장애인 본인 또는 가족 명의 차량 면제
6. 친환경차 감면: 전기차, 수소차 최대 140만원 감면
5. 자동차세 체납 시 불이익
⚠️ 체납하면 이렇게 됩니다!
1단계: 납부 기한 다음 날부터 3% 가산금 부과
2단계: 1개월 경과 시 매월 0.75% 중가산금 추가
3단계: 독촉장 발송 (체납액 + 가산금)
4단계: 재산 압류 (예금, 급여, 부동산 등)
5단계: 자동차 번호판 영치 (운행 불가)
6단계: 신용등급 하락 및 공매 처분
6. 중고차 구매 시 자동차세 확인
중고차를 구매할 때는 이전 소유주의 자동차세 체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📋 체납 확인 방법
1. 위택스에서 조회: 차량 번호로 체납액 확인
2. 관할 구청에 문의: 전화 또는 방문하여 확인
3. 이전 소유주에게 요청: 완납 증명서 제출 받기
체납된 자동차세는 차량과 함께 이전되므로, 신규 소유주가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!
7. 환급 및 감면 신청
환급 대상
• 차량 말소: 폐차, 수출 등으로 차량 말소 시 남은 기간의 세금 환급
• 이전 등록: 연중 차량 매매 시 일할 계산하여 환급/추가 납부
• 과오납: 실수로 세금을 더 낸 경우
환급 신청: 관할 구청 세무과 또는 위택스에서 신청
감면 대상
• 장애인 등록 차량: 연 143만원 한도 내 면제
• 국가유공자: 본인 명의 차량 면제
• 다자녀 가구: 18세 미만 3명 이상 자녀 보유 시 감면
• 경차: 비영업용 경차(1,000cc 미만) 연 최대 13만원 감면
• 친환경차: 전기차, 수소차, 하이브리드차 감면
신청 방법: 관할 구청에 증빙서류와 함께 신청